반응형
🚀 line-height
line-height는 글자의 높이를 지정하는 속성이다. line-height의 단위로는 normal, number, px, em, % 등이 있는데 number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. 좋은 이유? 한 번 araboja
참고로 initial value는 normal임!! font마다 갖고 있는 글자의 기본 높이를 의미!
1. line-height를 px값으로 줬을 경우
See the Pen Untitled by alstjr5949 (@alstjr5949) on CodePen.
2. line-height를 em값으로 줬을 경우
See the Pen Untitled by alstjr5949 (@alstjr5949) on CodePen.
더 큰 font를 자식 요소에서 사용했을 경우에 UI가 깨지는 문제가 발생한다.
3. line-height를 number값으로 줬을 경우
See the Pen Untitled by alstjr5949 (@alstjr5949) on CodePen.
line-height: 1을 사용했을 때 생기는 일은 폰트의 위아래로 존재하는 leading 영역을 없애준다.
📌 리딩 영역이란?
leading 영역을 없애줌으로써 비로소 font-size에 맞는 line-height를 갖게 되는 것이다.
그럼 normal일 경우에는 leading 사이즈가 포함된 line-height를 갖게 된다!!
See the Pen Untitled by alstjr5949 (@alstjr5949) on CodePen.
이렇게 잘 알지 못한 line-height 특성을 하나하나 빠개다 보니 아.. 내가 여태껏 line-height를 px단위로 썼던 건 미친 행위였구나.. 반성하게 됐다. 참 ㅎㅎ 알면 알수록 재밌다 CSS!!!
반응형
'Coding > HTMLㆍCS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CSS 설계 기법 (0) | 2022.04.18 |
---|---|
float(overflow와 bfc를 곁들인..) (0) | 2022.04.12 |
올바른 IR 기법 (0) | 2022.04.10 |
px? em? rem? CSS 다양한 단위 정리 (0) | 2022.04.07 |
Inline 박스 요소와 block 박스 요소 간의 차이 (2) | 2022.04.06 |
댓글